디지털 자산 쪽도 이제 빼놓을 수 없는 재테크의 큰 줄기 중 하나입니다. 최근 “원화 스테이블코인”이라는 새로운 개념을 접하게 되었고, 궁금함이 생겼습니다. ‘스테이블코인’이란 암호화폐의 변동성을 줄이기 위해 법정화폐와 1:1로 가치가 연동되도록 설계된 디지털 토큰인데 원화 스테이블코인은 말 그대로 KRW‑페깅 안정형 코인이죠 . 이 글에서는 제가 직접 알아본 내용을 바탕으로 원화 스테이블코인의 개념, 기대 효과, 그리고 규제 및 시장 현황을 차분하게 정리해 보려고 합니다.
원화 스테이블코인이란 무엇인가
스테이블코인은 달러, 금, 원화 등 실물 자산과 1:1로 연동되는 디지털 자산으로, 가격 변동성이 적다는 점에서 결제 및 송금 등의 금융 인프라로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특히 **원화 기반 스테이블코인(KRW stablecoin)**은 한국에서 발행되는 디지털 자산으로, 가치가 1원에 고정되도록 설계됩니다. 해외에서는 달러 기반 테더(USDT), 서클(USDC)이 디파이(DeFi), 중앙화 거래소 등에서 널리 쓰이지만, 한국은 아직 제도적 기반이 부족한 편입니다
원화 스테이블코인은 단순히 가격 안정성을 제공하는 것을 넘어, 결제 수단, 정산, 담보 서비스, 리워드 지급 등 다양한 금융·핀테크 서비스의 인프라가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주목받고 있습니다 .
한국은행의 입장과 규제 쟁점
도입 원칙 및 단계 접근
- 한국은행 부총재 유상대는 "민간보다는 은행권이 먼저 도입해야 한다"며 안정망 구축을 강조
- 부총재는 "달러 지배력은 스테이블코인으로 꺾을 수 없다"며, 발행 순서 및 안정장치를 우선해야 한다고 발언
- 부총재는 시중은행과 함께 CBDC ‘프로젝트 한강’ 2차 테스트를 준비 중이라 발표
우려 사항
한국은행이 지적하는 주요 리스크는 다음과 같습니다
- 코인런(Co-in run) 가능성
- 금융사고 및 시스템 불안정
- 자본유출 및 환율·외환시장 충격
- 통화 정책 효과 저해 가능성 .
즉, 금융안정성과 통화정책 통제력, 지급결제 안정성을 해칠 수 있다는 점에서 신중한 접근 필요성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정책 주도권의 분리
- 한은은 발행인가 단계에서 권한 참여 및 의견 제시권을 주장
- 그러나 금융위 중심 법안인 '디지털자산기본법'은 금융 당국(금융위, FSC) 주도 발행 인가 구조로 설계되고 있어 주도권 갈등이 존재합니다
원화 스테이블코인이 진짜 쓸모 있는가?
활용 가능성
- 기존 디파이(DeFi) 영역: 담보 대출·이자 수익·거래소 정산 등에 활용
- 핀테크 간편결제 및 리워드: API 통한 정산 자동화, 정산·리워드 지급 등 업무효율 향상 가능 .
- 내수 금융 인프라 강화: 카드 수수료보다 낮은 비용, 해외 송금 없이 국내 간편 결제 강화
한계 및 고민
- 글로벌 영향력 부족: 원화는 비기축통화이기 때문에 해외 확장성은 제한적
- 달러 스테이블코인의 압도된 시장점유: 99% 이상이 달러 연동형이며, 원화는 시장 영향력이 작음
- 투자자 보호 쟁점: 김치코인 등 유사 테마 대상 프로젝트 과열 및 피해 사례 우려도 존재
실제 사업 참여현황과 사례
- 8대 시중은행 연합 컨소시엄 구성: KB, 신한, 우리, 농협, 기업, 수협, 씨티코리아, SC 퍼스트 등 참여 예정
- 은행들은 자체 스테이블코인 브랜드 확보 중(특허 출원 상황, 예: 카카오뱅크의 BKRW 등)
- 민간 핀테크 기업들도 관심 확대: 카카오페이, 토스, 네이버페이 등, 법안 요건 하 완화된 조건으로 참여 여지 등장
이러한 움직임은 한국 내 디지털 금융 경쟁 촉진 및 인프라 구축에 실질적인 시도라 볼 수 있습니다.
미래 전망과 결론
금융 안정성 | 발행 주체와 관리체계 구축이 관건. 은행 중심 초도 도입이 보안성과 안정성에 유리 |
통화정책 대응 | 한은과 금융위 역할 분담, 감독기관 정비 필요 |
민간 기술 활용 | 핀테크의 기술력과 금융기관의 안정성 시너지 기대 |
글로벌 경쟁력 | 내수 중심 모델 모색 필요, 해외 확장성은 한계 |
시장 리스크 | 법제화 이전에 김치코인 등 투기 과열 우려 |
결론적으로, 원화 스테이블코인은 내수 결제 및 디지털 금융 혁신 도구로서 분명한 활용성을 지니지만, 한은이 강조하는 발행 주체·안정망·감독 체계 없이 섣부른 도입은 금융 혼란과 자본유출 리스크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이에 "은행 중심 단계적 도입 → 핀테크·비은행 확장 → 법적·제도적 정비"라는 접근이 가장 안정적이며 실용적인 시나리오로 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