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AI 모멘텀 탑재된 네이버 주가, 지금이 저점인가?

by 경제 저널리스트 머니토커 2025. 7. 10.

사연 많은 네이버, 다시 주가 주목받다

“네이버가 우리를 놀래켰다!”
지난 6월 18일, 네이버는 무려 19.61%나 폭등하며 247,000원을 찍었다. 52주 최고가를 갈아치운 이 급등세의 배경엔 무엇이 있을까?
금융 AI 에디터는 이렇게 요약했다: 이재명 정부의 AI 100조원 투자 정책 속에서 ‘하정우 AI미래기획수석’ 임명 소식이 터졌고, 네이버의 초거대 언어모델 ‘하이퍼클로바X’ 개발 주역이자 정부와의 연결 고리로 부상한 것. 게다가 다올투자증권·JP모건 등 증권사들은 목표주가를 24만→28만, 나아가 27만까지 상향 조정했다는 후문이다 .

 

실적 톱니 돌며 커머스·핀테크·광고까지 빵빵

하지만 단순히 정치 이슈만 갖고 이렇게 오르진 않는다. 2025년 1분기 실적을 보면, 매출 1조6,174억 원(전년비 +13.8%), 영업이익 4,833억(+18.9%) 등 곳곳에서 알찬 성과가 나왔다. 특히 커머스·핀테크 부문이 든든한 엔진이다 .
게다가 올 6월부터는 판매 수수료율 인상(스마트스토어·브랜드스토어 대상)이 시행되어, 매출 증대와 영업이익률 개선까지 기대되는 구조다. KB증권은 이 효과만으로도 연간 매출 3,500억 원 추가, 펀더멘털 개선 전망을 내놓았다 .

 

단기 상승도? 리스크도? 그래도 여전히 미궁

AI 모멘텀, 실적 기대감, 증권사들의 상향 전망으로 주가는 20일 이동평균선을 넘어섰고 24만–28만 원대 박스권 탈환 가능성이 손에 잡힌 듯 보인다 .
하지만 그늘도 있다. 검색 광고 시장의 둔화, 공매도 증가, 금융·AI·데이터 규제 등은 언제든 주가에 찬물을 끼얹을 수 있는 요소다 .

 

투자자에겐 ‘딱 좋은 도박판’?

네이버는 다각화된 비즈니스 포트폴리오 + 안정적 실적 성장 + AI 산업의 태풍 한가운데 있는 기업이다.
단기론: 24만 원대 지지 여부가 새 술잔이 될지, 28만 원대 고지를 탈환할지 관전 포인트.
중장기론: AI·커머스·핀테크가 시너지를 낸다면, “어라 이게 시작이었나?” 싶을 만큼 랠리가 이어질 수도 있다.
하지만 시장은 언제나 변덕스럽고, 정책은 언제 바뀔지 모르니 ‘분할매수 + 손절 룰’ 정도는 기본 장착하고 있어야 한다.
이쯤에서 물어보자. 네이버, 너 정말 끝판왕 될래? 아니면 짧디짧은 유행가?
돈도 재미도 노리는 당신이라면, 오늘도 시장 뉴스 두 번, 차트 세 번 확인하는 경제생활을 계속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