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T 위약금 면제 총정리: 대상·신청방법·주의사항 한눈에
오늘은 SK텔레콤(SKT)의 위약금 면제 정책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최근 SKT는 유심 해킹 사고로 인해 고객들의 신뢰를 회복하기 위해 위약금 면제를 결정했습니다. 이 정책은 2025년 4월 19일부터 7월 14일까지 해지한 고객 중 특정 조건을 충족하는 경우에 해당합니다 .
위약금 면제, 누가 받을 수 있나요?
위약금 면제 대상은 2025년 4월 18일 기준 SKT 약정 가입자 중 4월 19일부터 7월 14일 사이에 해지하고 위약금을 납부한 고객입니다. 단, 단말기 할부금은 면제 대상이 아니므로 별도로 납부해야 합니다
또한, 장기 입원, 군 복무, 해외 체류 등으로 인해 7월 14일까지 해지하지 못한 경우, 해당 사유가 해소된 이후 10일 이내에 해지하면 위약금 환급 대상에 포함됩니다 .
위약금 면제, 어떻게 신청하나요?
위약금 환급 신청은 2025년 7월 15일부터 시작됩니다. 신청 방법은 T월드 앱, 홈페이지, 고객센터, 대리점 등을 통해 가능합니다 .
- T월드 앱 또는 홈페이지 접속
- '위약금 면제 환급' 메뉴 선택
- 본인 인증 및 환급 계좌 입력
- 신청 완료 후 7일 이내 환급
이미 위약금을 납부한 경우에도 동일한 방식으로 환급 신청이 가능합니다.
통신사 변경, 지금이 기회일까요?
SKT의 위약금 면제 정책은 경쟁사들의 마케팅 경쟁을 촉발시켰습니다. KT와 LG유플러스는 SKT에서 번호이동하는 고객에게 추가 혜택을 제공하며 가입자 유치에 나섰습니다 .
예를 들어, 공시지원금으로 단말기를 개통한 고객이 다른 통신사로 이동하면 위약금 면제와 함께 새로운 약정 할인 혜택을 받을 수 있어 최대 80만원의 이득을 볼 수 있습니다 .
그러나 선택약정으로 개통한 고객은 이동해도 동일한 할인 요금이 적용되므로 이득이 크지 않을 수 있습니다. 또한, 유무선 결합 할인 혜택이 해지될 수 있으므로 신중한 판단이 필요합니다
SKT의 위약금 면제 정책은 고객들에게 새로운 선택의 기회를 제공합니다. 그러나 단말기 할부금, 유무선 결합 할인 등 고려해야 할 요소들이 많습니다. 통신사 변경을 고민 중이라면 자신의 상황에 맞는 최선의 선택을 하기 위해 꼼꼼한 비교와 계산이 필요합니다.
더 자세한 정보는 SKT 고객센터(114) 또는 T월드 앱을 통해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이번 기회를 잘 활용하시길 바랍니다!